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5

현장 건설기술자 배치 기준 안내 출처 : 경기도건설본부 건축시설과,「공공건축물 공사감독 매뉴얼(2차 개정)」, (2024)  현장 건설기술자 배치 기준 1) 개요「건설산업기본법」, 「건설기술진흥법」 규정에 의거 건설공사 규모에 따라 건설 기술자를 배치 ※ 건설기술자 : 현장대리인, 안전관리자, 품질관리자, 환경관리자각 기준에 따라 배치되는 건설기술자는 「건설기술진흥법」 제20조제2항에 따른 교육, 훈련을 이수하여야 함.  2) 현장대리인  공사 금액별 기준에 따라 기술자 배치공사 예정금액배치기준근거700억원 이상● 기술사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제35조 제2항【별표5】500억원 이상● 기술사, 기능장, 특급기술자(시공관리업무 5년 종사)300억원 이상● 기술사, 기능장, 기사(10년 실무종사), 특급기술자(시공관리업무 3년 종사100억원 이.. 2024. 10. 29.
건설공사의 품질관리 안내 출처 : 경기도건설본부 건축시설과,「공공건축물 공사감독 매뉴얼(2차 개정)」, (2024)  건설공사의 품질관리1) 품질관리(시험)계획※ 건설기술 진흥법 제55조, 영 제89조~제94조 및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구분품질관리계획품질시험계획대상● 감독권한 대행 등 건설사업관리 대상건설공사로서 총공사비 500 억원 이상 ● 다중이용 건축물의 건설공사로서 연면적 3만㎡이상인 건축공사 ● 해당 공사계약에 품질관리계획의 수립이 명시되어 있는 건설공사● 건축공사 : 연면적 660㎡이상 ● 토목공사 : 총공사비 5억원이상 ●전문공사 : 총공사비 2억원이상수립기준●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(국토교통부고시 제2022-30호)작성● 건설업자 또는 주택건설업자검토·확인● 건설업자 또는 주택건설업자승인● 발주자(건설공사 .. 2024. 10. 28.
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안내 출처 : 경기도건설본부 건축시설과,「공공건축물 공사감독 매뉴얼(2차 개정)」, (2024) 안전관리비 계상 및 사용기준1) 근거「건설기술진흥법」 제63조, 같은법 시행규칙 제60조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[제3장 건설현장 안전관리 (제3절 건설공사 안전관리비 계상 및 사용기준)](국토교통부 고시 제2022-791호, ’22.12.20.)2) 항목 및 계상방법(시행규칙 제60조 제1항, 제2항)구분내용반영 항목1. 안전관리계획의 작성 및 검토 비용 또는 소규모안전관리계획의 작성 비용 2. 영 제100조제1항제1호 및 제3호에 따른 안전점검 비용 3. 발파ㆍ굴착 등의 건설공사로 인한 주변 건축물 등의 피해방지대책 비용 4. 공사장 주변의 통행안전관리대책 비용 5. 계측장비, 폐쇄회로 텔레비전 등 안전.. 2024. 10. 25.
산업안전보건관리비 근거 및 계상기준 안내 출처 : 경기도건설본부 건축시설과,「공공건축물 공사감독 매뉴얼(2차 개정)」, (2024)  산업안전보건관리비 근거 및 계상기준 1) 근거「산업안전보건법」 제72조, 같은법 시행령 제59조·제60조, 시행규칙 제89조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(노동부 고시 제2022-43호, ’22.6.2.) 2) 적용범위「산업안전보건법」 제2조제11호의 건설공사* 중 총공사금액 (도급금액+ 도급자 관급금액) 2천만 원 이상인 공사에 적용* 「건설산업기본법」 제2조제4호에 따른 건설공사 / 「전기공사업법」 제2조제1호에 따른 전기공사 / 「정보통신공사업법」 제2조제2호에 따른 정보통신공사 / 「소방시설공사업법」에 따른 소방시설공사 등 3) 공사종류 및 규모별 안전관리비 계상기준표도급자재관급 미포함 공사: .. 2024. 10. 24.
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 기술지도 안내 출처 : 경기도건설본부 건축시설과,「공공건축물 공사감독 매뉴얼(2차 개정)」, (2024)  재해예방 전문지도기관 기술지도 1) 근거「산업안전보건법」 제73조 및 시행령 59조  2) 대상공사금액 1억원 이상 120억 미만 공사를 하는 경우 건설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하는 전문기관(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)의 지도를 받아야 함.* 제외대상: 공사기간 1개월 미만, 섬지역에서 이뤄지는 공사(제주도제외), 안전관리자의 자격(시행령 별표 4)을 가진 사람을 선임하여 안전관리자의 업무만 전담하는 공사, 유해·위험방지계획서를 제출하여야 하는 공사 3)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의 지도기준* 「산업안전보건법」 시행령 제60조 [별표18] ① 재해예방 전문지도기관의 지도 분야 ② 기술지도계약 ③ 기술지도 횟.. 2024. 10. 23.
안전관리계획 안내 출처 : 경기도건설본부 건축시설과,「공공건축물 공사감독 매뉴얼(2차 개정)」, (2024)  안전관리계획 1) 개요 착공 전 건설업자 등이 시공과정의 위험요소를 발굴하고, 건설현장에 적합한 안전관리계획을 수립·유도함으로써 건설공사중의 안전사고를 예방하기 위함.  2) 수립대상 및 기준 (건설기술 진흥법 제62조, 영 제98, 99조)수립대상수립기준● 1종 시설물 및 2종 시설물의 건설공사 ● 지하 10M 이상을 굴착하는 건설공사 ● 폭발물 사용으로 주변*에 영향이 예상되는 건설공사 * 주변 : 20M 내 시설물 또는 100M 내 가축 사육 ● 10층 이상 16층 미만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● 10층 이상인 건축물의 리모델링 또는 해체공사 ● 「주택법」제2조제25호다목에 따른 수직증축형 리모델링 ● 「건설기.. 2024. 10. 20.